본문 바로가기
경제학

돈이 안 모이는 사람들의 공동 습관 7가지

by 주진전의 경제학 2025. 5. 21.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돈이 안 모이는 사람들의 습관 7가지     

 

 

1. 지출 내역을 기록하지 않는다

 

▪ 습관 설명

 

하루에 커피 한 잔, 편의점에서 간식, 배달비… 금액이 크지 않아서 신경 쓰지 않지만, 이처럼 자잘한 지출이 쌓이면 한 달에 수십만 원을 소비하게 됩니다. 기록하지 않으면 자신의 소비 패턴을 인지하지 못해, 어디에서 아껴야 할지조차 모르게 됩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월말이 되면 항상 잔고가 바닥

비정기 지출(경조사, 병원비 등)에 취약

"나는 별로 안 썼는데 왜 돈이 없지?"라는 생각 반복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가계부(앱 또는 종이) 작성

지출 항목을 ‘고정지출 / 변수지출 / 유흥 / 낭비’로 분류

일주일 단위로 합계 및 반성 시간 갖기

 

 

 

 

 

 

돈이 안 모이는 사람들의 공동 습관 7가지
돈이 안 모이는 사람들의 공동 습관 7가지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 소비에 대한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지출한다

 

▪ 습관 설명

 

계획 없이 쇼핑몰을 둘러보거나, 쿠팡 앱을 켜두고 있는 상태에서 무심코 물건을 주문합니다. ‘당장 필요한 건 아니지만 일단 사두자’라는 식의 소비가 반복되면 불필요한 지출이 많아집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‘사지 말걸’ 하는 후회 빈번

사용하지도 않는 물건이 집에 쌓임

충동구매가 습관이 되어 소비통제가 어려워짐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3일 룰: 사고 싶은 물건이 생기면 3일간 고민한 후 결정

소비 전 리스트화: 필요한 품목을 목록으로 만들어두고 해당 품목 외에는 구매하지 않기

신용카드 앱 알림 잠시 꺼두기, 쇼핑 앱 삭제

 

 

 

 

 

3. 고정지출을 점검하지 않는다

 

▪ 습관 설명

 

인터넷, 핸드폰 요금, 스트리밍 서비스, 보험료 등 정기적으로 나가는 돈에 대해 ‘설정해 놨으니 자동이체 되겠지’ 하고 방치합니다.

그러다 보면 불필요한 서비스에 계속해서 돈을 쓰고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매달 5만~10만 원씩 ‘새는 돈’ 발생

필요하지 않은 보험, 구독서비스 그대로 유지

본인은 알지 못한 채 예산이 줄어들고 있음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3개월마다 고정지출 점검

구독서비스나 자동이체 항목을 목록화하고 필요성 판단

비효율적인 보험, 통신요금은 전문가 상담 후 리모델링

 

 

 

 

 

4. 남는 돈이 있어야 저축한다는 생각

 

▪ 습관 설명

 

“이번 달엔 모임이 많았으니까… 다음 달부터 저축하자.” 매번 수입보다 지출이 먼저 발생하니 남는 돈이 없고, 결국 저축은 계속 미뤄집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월급이 들어와도 바로 사라짐

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할 여유자금 없음

항상 미래에 대한 불안감 동반

 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선저축 후소비: 월급일에 자동이체로 적금/펀드 우선 이체

‘소비 여유자금’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분리 관리 (세 번째 통장 전략)

비상금 통장 따로 운영하여 유사시 대응 가능하게 만들기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5. 신용카드를 과도하게 사용한다

 

▪ 습관 설명

 

‘이번 달에 쓰고 다음 달에 갚지 뭐’라는 생각으로 신용카드를 사용하다 보면, 다음 달 카드값이 예상보다 크게 나옵니다. ‘당장의 여유’가 미래의 재정압박으로 전가되는 구조입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소비감각 둔화 (실제 잔고와 괴리 발생)

무이자 할부 등으로 인해 한 달 수입이 계속 쪼개짐

카드값 감당이 안 되면 대출로 이어짐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월간 카드 사용 한도 정하기

체크카드로 주 소비 전환

신용카드는 고정비, 대중교통 등 정해진 항목에만 사용

 

 

 

 

 

6. 타인의 소비를 따라 한다 (보여주기식 소비)

 

▪ 습관 설명

 

친구가 비싼 카페, 명품 가방, 여행 인증을 하면 ‘나도 그 정도는 해야지’라는 생각이 들며 소비를 하게 됩니다.

SNS의 과장된 삶을 따라가다 보면, 나의 필요와 무관한 소비가 많아집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‘소비 비교’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

실속 없는 지출 반복

정작 자신이 원하는 삶은 점점 멀어짐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소비의 기준을 ‘나’로 재설정

SNS 사용 줄이기 또는 피드 정리

“이 물건이 내 삶의 질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는가?”를 스스로에게 질문

 

 

 

 

 

7. 금융/재테크에 무관심하다

 

▪ 습관 설명

 

적금, 펀드, 연금, ETF 같은 단어에 거부감을 갖고 ‘나는 숫자에 약해서’, ‘어차피 나는 모르는 일이니까’라는 태도로 방치합니다.

결국 물가상승률도 못 따라가는 방식으로 돈을 보관하게 됩니다.

 

 

▪ 문제점

 

원금만 지키다 오히려 돈의 가치 하락

잘못된 금융상품 가입으로 손실 발생

은퇴 이후 대비 전무

 

 

▪ 해결 방법

 

유튜브, 책, 팟캐스트 등으로 쉽고 짧게 학습

매달 소액이라도 직접 투자해 보며 감 익히기

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에게 자산 점검받아보기

 

 

 

 

 

 

2025.05.19 - [경제학] - 4%법칙으로 은퇴하려면 필요한 자금은?

 

4%법칙으로 은퇴하려면 필요한 자금은?

4% 법칙(The 4% Rule)은 은퇴 자산을 어떻게 인출하면 노후 기간 동안 자산을 고갈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표적인 지침입니다. 아래에서 역사적 배경부터 구체적인 계산

progress-joo.com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마무리: 돈은 습관의 결과입니다

 

돈을 못 모은다는 건 수입의 크기보다 습관의 패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오늘부터 다음 중 하나만 실천해 보세요:

 

하루 5분 가계부 쓰기

월 5만 원 자동이체로 비상금 만들기

주 1회 소비 리셋 데이 만들기

 

작은 습관의 차이가 결국은 큰 재정적 차이를 만듭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